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dbc
- workspace
- sequence diagram
- 설정
- FIle
- Ecilpse
- System Requirement Specification
- srs
- 데이터베이스
- vision document
- mindmap
- network
- 자바
- analysis
- 게시판 제작
- 소켓
- 클래스
- js꼬리
- 파일
- 게시판
- Database
- 네크워크
- 이클립스 설정
- 메소드
- custom Tag
- IO
- java
- jdk설치
- Eclipse
- 제안서
- Today
- Total
목록게시판 제작 (19)
공적's life
2-5로 main메소드에 작성하는 것을 끝내고 그 다음인 메소드로 분리하는 것을 해 볼 예정입니다. 우리가 그 동안 무엇을 했고 무엇을 배웠나 정리하기 위해서 이 글을 작성합니다. 첫 번째 우리는 분석된 결과를 프로그래밍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배운 것은 우리가 정의한 절차와 흐름에 따라서 프로그래밍 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한번에 프로그래밍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만들어져 가는 것을 배웠습니다. 절대로 프로그래밍은 한번에 꽝하고 나올 수 없습니다. 프로그래머의 실수든지 아님 언어에 미숙함, 그리고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들을 해결해왔습니다. 프로그래밍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문제에 프로그램을 활용 할 수 있습니다. 미약하나마 우리는 그것을 익히고 있고,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
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수정입니다. 수정은 단순히 생각하면 문서 상세보기와 등록에 연속입니다. 그러니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죠. 자 말보다 코드로 해볼까요?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번호 가져오기 String userInputSeq = outputData[1]; //일치할경우 저장할 Map타입 Map documentSave=null; //검사 for(int indexI=0; indexI 2000) { return; } // 6. 문서 번호 가져오기 systemSeq += 1; // 7. 등록일 가져오기 Date systemDate = new Date(); SimpleDateFormat date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HH:mm:ss", Locale..
이제 우리에게 남은 것은 수정과 삭제입니다. 수정은 등록과 상세보기에 합작이기 때문에 제일 나중에 해도 무방할 듯 하여 삭제부터 진행하겠습니다. 지금 현재는 삭제할 때 List에서 한 개씩 문서를 꺼내고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번호와 문서를 보관하고 있는 List가 일치하면 그것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조금 세련되지 않았지만 약간에 수정을 거치면 세련되게 삭제가 될 것입니다. 그럼 코드로 직접 볼까요?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번호 가져오기 String userInputSeq = outputData[1] //검사 for(int indexI=0; indexI 600) { return; } if (userInputContent.length() ..
일단 우리가 해결해 할 문제는 // 저장되는 공간 int seq =0; String title = null ; String content = null; Date registDate = null; int hit =0 ; 이것을 어떻게 처리 하느냐 에 문제 입니다. 이것이 어떠한 문제 인가 하면 지금 까진 한 건 단위로 처리했지만, 이제는 한 건이 아닌 여러 건을 처리 해야 하기 때문에 저 데이터들을 묶어줄 필요성이 생긴 것입니다. 우리가 정의 할 문서는 저 위 내용을 모두 포함한 것이 한 문서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묶어 줄까 궁리를 했습니다. 첫 번째로 생각한 것은 배열이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 같은 자료형으로 묶어야 한다는 단점과 크기가 제한 되어있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패 하였습니다. 그..
여기까지 잘 따라 오셨습니다. 지금부터는 실제로 코딩을 해보도록 하죠. 제가 거의 다 해드리지는 않고 몇몇 가지 중요한 것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구글 그룹스에 코드를 올려주시면 제가 검사해드리겠습니다. 일단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보죠. 이곳이 우리가 사용하게 될 워크 스페이스 입니다. 들어 간 후 이미 셋팅 완료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에 그림과 같이 Java Project를 선택해 줍니다. 그런 후에 프로젝트 명에 JDK_001_Board_melpis를 넣어 줍니다. 이것은 JDK> 단순 JDK만 쓰겠다 001> 첫 번째 Board> 프로젝트 이름 melpis> 작성자 입니다. 그런 후에 클래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림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Src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
오늘로써 분석 단계를 끝을 내볼려고 합니다. 원래는 이후에 몇가지 단계가 있지만 그것은 일단 생략하고 이후에는 실질적인 Java Programing을 진행 하겠습니다. 이것만으로도 프로그래밍을 하는대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것 입니다. 제 블로그에 2010/07/09 - [progaraming/environment] - UML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Enterprise Architect) 여기 가셔서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제가 올린 파일들을 볼수 있습니다. 나중에 또다시 설명 해야 하니까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 그저 참고로 한번 봐주시면 됩니다. 다음에는 JDK설치와 Eclipse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진짜 Java를 해보도록 하죠. 아직은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없어서 동영상 보다는 ..
우리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문서 관리(게시판)입니다. 기존에는 수기로 작성되던 문서를 시스템에서 작성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게 우리에 목표입니다. 최종적인 목표는 웹환경에서 구동되는 게시판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입력을 하고, 시스템은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어떠한 처리를 해야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작성된 문서 입니다. 이름하여 SRS(System Requirement Specification)입니다. 이것을 작성해서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것들을 정의하고, 시스템은 무슨 처리를 해야하고 무엇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것인지 생각하면서 작성하셔야 합니다. Vision Document는 이해가 되지 않을 부분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이유는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읽을 수 있게 작성..
OOA/D 방법론을 따라가자면 첫번째 우리가 진행해야 할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고객 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표에 맞추어서 작성하여야 합니다. 역시나 기능 위주로 작성하여야 하고, 그 기능에 우선 순위를 두어서 순위가 높을 수록 구현시 빠르게 구현해야 합니다. 이내용들은 고객과의 협의를 통해서 작성되야 한다고 합니다. 일단은 우리 스스로가 고객이자 개발자이기에 우리 프로젝트에 장점이나 사업성 또한 이 문서에 들어가야 합니다. 왜 프로젝트에 사업성이나 만든 목적이 들어가야 하면 첫번째 문서에 포함 된 프로젝트에 목적은 우리가 앞으로 나가야 할 길을 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프로젝트가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면 처음 설정했던 목표가 다시 돌아 가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두번째 사업..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우리 스스로가 고객이자 개발자 이므로 우리에 생각을 정리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브레인 스토밍을 하는 것이 좋지만 팀이 구성되지 않았기에 마인드맵을 활용 하겠습니다. 팀의 생각을 모아서 작성해야 하고, 있었으면 하는 기능을 모으시면 됩니다.. 제가 한것을 올려 놓을테니까 참고하세요..물론 100%로 맞지않습니다. 마인드맵이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기준자료가 되므로 처음에 잘 작성하여야 합니다. 반드시 어떻게 구현할지는 신경쓰지 마시고 어떤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 이것만 생각하세요 무슨 프로그래밍 언어에 무슨 프로토콜 무슨 데이터 베이스 전혀 신경쓰지 마세요.